-
[figma]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1)designer?/디자인 툴 정복기 2022. 8. 1. 17:50728x90
피그마의 이력 관리 때문에 고민 중에 피그마에도 git처럼 branch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실시간 링크로 공유하게 되니 계속 바뀌는 시안 때문에 개발에 혼선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기능별로 작업이 끝날 때마다 history를 따로 저장하여 공유하였더니 링크가 너무 여러 개 생겨
어떤 링크를 봐야 하는지에 대한 불편함이 생겼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피그마를 꼭써야하기 때문에 슬랙에 열심히 공지를 하며 update 이력을 남겼다.(슬랙에 연결할 앱이 많아 자동 알람도 못남기는 상황 ....ㅠㅠ..) 이렇게 불편하게 쓰고 있었는데 branch 기능이라니!!!
그럼 메인 링크만 공유하고 작업할 branch를 따로 빼서 완료했을 때만 merge 해주면 되는 건데!!
어차피 지금 피그마도 개인적으로 결제해서 쓰고 있기 때문에 Organization plan을 사용하진 못하지만
언젠가는 사용해볼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지고 피그마의 branch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branch의 개념을 모르는 디자이너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branch 란?
개발에서 쓰는 git의 개념에서 따온 것으로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입니다.디자이너들의 수정의 고충... 최종 1, 최최최종2, 최최최최종3 이런 식으로 파일 관리를 하던 불편함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도대체 찐 최종은 언제인가.... 웹사이트 디자인을 할 때 최종으로 합쳐질 파일을 main이라고 생각하고 각각 영역에 따라서
main/navigation, main/promotion (메인 파일에서 뻗어나온 업무들 = branch)이 생겼다고 가정 했을때이 그림을 보면 수정사항 별로 파일이 7개가 생겼을 것 같지만
사실은 하나의 메인파일에서 3개의 브랜치로 나눠진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담당자는 업무별로 나눠진 일을 하면 메인화면 담당자는 메인틀에 대한 디자인을 하고 내비게이션, 프로모션 담당자는 메인화면 틀을 가져와 그 위에 얹어질 각각의 요소에 대해서만 디자인하면 된다.
그리고 수정 1, 수정 2는 각각의 다른 파일이 아닌 하나의 파일에서 history로 관리할 수 있다.
(이제 더 이상 수정 1이 최종이었는지 수정 2가 최종이었는지 수많은 파일을 열어 찾아보지 않아도 된다. 최종 파일은 딱 하나니까! )
이렇게 작업을 할 때 메인 담당자들은 내비게이션,프로모션의 각각의 버전을 끌어와서 합쳐 볼수도 있고
네비게이션, 프로모션 작업자도 메인의 최신 틀을 가져와 적용해보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이 작업을 'merge' 한다고 한다.
각각의 담당자가 작업을 하고 최종 결정이 났을 때 main 파일로 합칠 수 있는 것! 중복작업은 거르고 새롭게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것! 이것이 branch의 핵심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 branch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다.
다음 글에서 피그마에서 branch 생성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figma]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1)
피그마의 이력 관리 때문에 고민 중에 피그마에도 git처럼 branch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실시간 링크로 공유하게 되니 계속 바뀌는 시안 때문에 개발에 혼선이 생기게 되었
odd-eun.tistory.com
[figma]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2)
저번글에 이어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다! branch가 뭔지 모르겠는 분들은 1편을 먼저 보고 와주세요! https://odd-eun.tistory.com/8 [figma]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1)
odd-eun.tistory.com
728x90반응형'designer? > 디자인 툴 정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gma] 피그마에서 PPT 작업을? (0) 2024.06.26 [figma] 피그마에서 컬러 라이브러리 쉽게 만들기! (7) 2022.10.07 [figma] 피그마의 브랜치 기능?! (2) (0) 2022.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