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업계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란?
UI 디자인, UX 디자인, 프로덕트 디자인, 웹 디자인 IT 업계에 디자인 직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가운데
'프로덕트 디자인'이라는 직무가 떠오르고 있다 UI, UX도 아닌 프로덕트를 디자인한다는 것은 어떤 업무를 의미하는 것일까?
먼저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뽑는 여러 회사의 요건을 보면
- 어떻게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 정성적/정량적 데이터 기반의 UX 문제를 정의
- 사용성 테스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경험
- 사용자에 대한 정량/정성적인 이해를 기반
-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개선
- 사용자 관점, 그리고 개발/제작 관점 사이에서 문제의 본질을 바라보고, 이상적인 디자인과 비즈니스 목표 사이에서 균형 있는 해결책을 제시
- 사용자 리서치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객의 니즈, 문제와 Mentality를 이해하고 명확한 디자인 챌린지를 정의
- A/B 테스트 등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
- Protopie 등을 프로토타이핑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분
-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하여 디자인 개선을 제시할 수 있는 분
- Google Analytics, Amplitute 등 user data 분석 트래킹 툴 활용하여 인사이트 도출한 경험이 있는 분
공통적으로 사용자, 테스트, 개선, 분석, 문제정의 등의 단어가 반복되면서
리서치, 데이터를 기반하여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한 화면 개선을 중점으로 보고 있다.
Q1.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란? 😎
유저 인터뷰, 분석 툴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등 사용성에 대해서 분석한 내용들을 의미한다.
Q2.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까?😎
위 그래프를 보면 정성적, 정량적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 테스트 방법이 있는데 적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면 될 것 같다.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면 데이터 기반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있다.
06화 데이터 기반 UI/UX 디자인은?
디자인 독학하기 06 | UI/UX 디자인 경험을 공유합니다 :) [Contents] 01 A/B/C 테스트로 가장 좋은 디자인 시안 찾기 1_ KPI 정하기 2_ 퍼널(Funnel) 설계하기 3_ A안 디자인하기 4_ B안과 C안 디자인해 A/B/C 테
brunch.co.kr
Q3. 프로덕트 디자인 커리어를 쌓기 위해 '디자인을 대하는 자세'?😎
일단 어떤 UI 디자인을 하던지 그냥 더 예뻐 보이기 위해 바꿨다는 입장에서는 벗어나야 할 것이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을 접근하고, 행동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논리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보통 디자인 작업을 할 때 UX 분석을 하는 프로세스가 갖춰있는 회사가 아니라면
저런 과정들을 그냥 생각만 하고 넘어가거나 회의에서 대충 정해지고 넘어가게 될 것이다.
앞으로는 '아 이런 점은 불편할 것 같은데..', '이 사용자가 사용할 때랑 다른 경우에는 또 이렇게 적용되어야 할 텐데...'
이런 생각들을 정리해놓는 습관을 들여 페르소나 정의나 유저 플로우를 남겨 놓는 것부터 시작해보도록 하자!
디자인 업무 혹은 기획을 맡게 되면 스쳐 지나가면서 했던 업무들이 많은데 그러다 보니 그 업무들의 용어를 잘 모르고 넘어갔던 것 같다. 앞으로 더 구체화해서 아이디어를 정리하면서 논리적인 디자인 습관을 들이게 되면 UI 디자인에서 프로덕트 디자인으로 넘어가는 길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